
성동구, ‘로봇재활치료기’로 장애인 재활 집중치료 개시
[국회의정저널] 서울 성동구는 이달 말부터 로봇재활치료기기 ‘스마트 글로브’를 도입, 상지기능장애가 있는 지역 내 장애인에게 집중적인 로봇재활치료를 시작한다.
‘스마트 글로브’는 손과 팔의 재활을 위해 개발된 손 재활기기로 훈련과정을 시각적인 데이터로 제공하며 다양한 훈련 게임을 통해 손가락, 손목, 아래팔 기능의 재활훈련을 할 수 있다.
또한 치료사의 역량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기존 전통적인 치료와는 달리 재활치료에서 중요한 반복적인 훈련도 흥미를 가지고 할 수 있게 돕고 환자 스스로의 움직임을 유도, 작업치료사의 업무 부담을 줄여 환자에게 보다 많은 치료기회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구는 국내 재활치료의 대부분이 입원 치료를 통해 이루어져 치료에 많은 사회적 비용이 발생, 퇴원 후 지역사회에 복귀한 환자들은 치료받을 곳이 없어 기능 저하와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주목했다.
올해 1월 한 달 간 ‘스마트 글로브’를 시범적으로 도입, 구는 환자들의 높은 호응과 치료 효과를 확인하고 로봇개발진흥원에서 시행하는 ‘로봇활용 사회적 약자 편익지원사업’에 성동재활의원과 함께 공모, 이달 선정됐다.
공모를 통해 선정된 로봇재활치료기기는 성동재활의원 성동재활의원은 재활의학과 전문의와 1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성인 작업치료사가 상주하고 있는 장애인들을 위한 지역내 의료재활시설이다.
에 배치, 이달 말부터 별도 이용료없이 로봇재활 치료기기를 통한 집중적이고 지속적인 치료와 관리로 장애인의 재활치료에 박차가 가해질 것이라고 구 관계자는 설명했다.
사고로 오른손에 기능장애가 생긴 A씨는 “주기적인 치료를 위해 성동재활의원을 찾다가 치료사가 권해준 스마트 글로브를 착용했는데 게임처럼 재밌게 치료하니까 지루하지가 않다”고 말했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조건은 ‘포용성’”이라며 “로봇재활 치료기기와 같은 스마트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시켜 앞으로도 장애인, 노약자와 같은 사회적 약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