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성군, 쌀 농사 풍년 위한 영농철 농가 ‘집중 관리’
[국회의정저널] 장성군이 지난달 말부터 모내기를 시작함에 따라, 본격적인 영농철 대응에 나섰다.
최근, 장성군 농업기술센터는 지역 내 농업인들에게 못자리 적기 설치와 육묘의 철저한 관리를 당부하고 있다.
육묘 기간 중 이상 저온 또는 고온이 발생하면 뜸묘, 입고병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자 쌓기 및 녹화기에 주야간 10~25℃ 이내로 일정하게 온도를 관리해야 한다.
또 종자 파종 시에는 밀파를 해서는 안 된다.
장성군 관계자는 “철저한 못자리 관리로 올해에도 고품질 쌀을 생산하겠다”며 “각종 필요 농자재와 병해충 적기 공동방제 등 체계적인 농가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장성군의 첫 모내기는 지난 4월 29일로 서삼면 송현리 김민수 씨가 그 주인공이었다.
이날, 김 씨는 0.2ha 규모 농가에 조명1호 품종을 이앙했다.
조명1호는 전라남도농업기술원에서 개발한 고품질 조생품종이다.
밥맛이 좋고 병충해에 강한 품종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 키가 작아 비바람에 쓰러지는 일이 적어, 농업인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장성군은 조명1호와 새청무를 2021~2022년 공공비축미곡 매입품종으로 선정, 올해 전남 쌀 생산 목표량인 10ha당 500kg 수확을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아울러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드문모심기 기술을 농가에 보급하기 위해 현장기술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드문모심기는 단위면적 당 육묘상자 수를 줄여주는 재배 기술이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