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정저널] 충북보건환경연구원은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4월부터 10월까지 도민들의 이용이 잦은 도심공원 및 산책로 등을 중심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등을 유발하는 참진드기류의 실태 조사에 나선다.
흔히‘살인 진드기병’으로 불리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질병으로 특별한 치료제나 백신이 없어 참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2013년 국내에 첫 발병 사례가 확인된 이후 최근 5년 평균 연간 226명이 발생했고 38명이 사망해 치명률이 약 16.8%에 이른다.
충북에서도 2017년 12명, 2018년 12명, 2019년 3명, 2020년 3명 등 지속적으로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채집한 진드기의 분류·동정과 유전자 검사를 시행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라임병, 큐열 등의 원인병원체 보유 여부를 확인한다.
조사 지점은 도민들의 접근성이 높고 이용이 잦은 무심천, 오창호수공원, 부모산, 구룡산 4지점이 선정됐다.
지난해 도내 SFTS 감염자 발생에 따른 참진드기 조사 결과 진드기 내 SFTS 병원체 바이러스 검출이 확인됐으며 관할 보건소와 검사결과 정보를 공유하고 해당지역 소독 등 추가 감염자 발생을 막기 위한 방역조치를 실시했다.
연구원은 올해 실태 조사를 통해 참진드기가 많이 서식하거나 병원체가 발견된 곳은 제초작업과 소독 등 방역활동 및 지역주민 홍보를 통해 선제적 대응·예방이 가능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봄철 기온 상승에 따라 진드기의 활동 및 개체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야외 활동 시 다양한 진드기매개질환의 감염 가능성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불어“진드기매개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인 만큼 야외 활동 시 긴옷 입기와 외출 후 목욕하기 등 예방수칙을 준수 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