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해요소 정밀조사 인포그래픽
[국회의정저널] 국토교통부는 ‘20년 9월부터 6개월간 국토교통부가 관리하는 도로포장에 대한 하부 공동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도로포장 위해요소 정밀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경북지역 지진, 도심 도로 함몰 등이 발생함에 따라 도로 하부의 위험 요소를 사전에 대처하기 위해 ‘18년부터 “도로포장 위해요소 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왔다.
이번 조사는 포장 공용연수가 7년 이상된 일반국도 구간 중에서 땅꺼짐이 예상되는 구간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차량형 GPR을 통해 지중 레이더 영상 자료를 획득한 이후, 인공지능 기반 자동 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땅꺼짐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파악했다.
파악된 땅꺼짐 예상지역에 대해서는 천공 후 내시경 촬영을 실시해 땅꺼짐 발생 여부 및 크기를 확인했다.
소규모 땅꺼짐은 조사 과정 중에 유동성 채움재로 복구작업을 실시했고 상세 조사가 필요한 19개소는 해당 국토관리소에서 상세 검토 및 굴착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복구된 땅꺼짐에 대해서는 국토관리소에서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이번 조사 결과는 내년 공동 조사에 반영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조사구간 이외에도 존재할 수 있는 땅꺼짐 등 위험요소 파악을 위해 국도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실시해 나감으로써, 국민들이 안전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