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주시청
[국회의정저널] 원주시민의 사회적 관심사와 주관적인 의식에 대해 조사한 2020년 원주시 사회조사 결과가 3월 31일 원주시 통계 홈페이지를 통해 공표됐다.
앞서 원주시는 지난해 8월 19일부터 9월 21일까지 표본 1,000가구 만 13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건강, 가족과 가구, 사회통합, 지역산업, 안전, 환경 등 6개 부문 55개 항목을 조사했다.
시민들은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좋다’ 44.3%, ‘보통’ 39.1% 순으로 응답했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주로 이용한 도내 의료기관은 의원이 50.4%로 가장 많았고 평균 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46점으로 나타났다.
부모부양 책임에 있어 부모님과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부모님 생활비 지원 주체는 부모님 스스로 해결이 5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모든 자녀가 지원한다는 응답이 21.5%로 나타났다.
다만, 60대 이상부터는 부모님 스스로 해결 응답이 급격히 낮아지고 모든 자녀 또는 장남이나 맏며느리의 지원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18.3%로 반려견이 15.8%, 반려묘가 3.6%를 차지했다.
단독주택 거주자가 아파트보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비율이 높았으며 반려동물로 인한 가장 큰 사회적 문제는 동물유기, 동물학대, 이웃 간의 갈등 순으로 나타났다.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다’라고 응답한 경우는 89.3%, 지원 가능한 평균 인원은 5.74명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60대 이후부터 사회적 지원 인원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원자 보유 비율과 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시민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공공시설은 공영주차시설과 보건의료시설로 나타났고 연령이 낮을수록 문화시설 및 체육시설을, 연령이 높을수록 보건의료시설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할 정책으로는 일자리 창출 응답이 가장 많았고 투자유치, 지역산업 육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원주시에서 관심을 갖고 추진해야 할 건강문제와 관련해서 청소년 대상은 게임 및 휴대폰 중독, 성인 대상은 스트레스 및 우울 등 정신건강, 노인 대상은 치매관리가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