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아픔에도 동백꽃은 활짝
[국회의정저널] 붉가시, 황칠 등 765종의 희귀난대수종 보고이자 국내 최대·유일의 난대수목원인 완도수목원에 동백꽃이 만발해 관람객의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해 11월부터 피기 시작하다, 최근 만개해 수목원 곳곳을 붉은색으로 수놓고 있다.
동백은 겨울의 꽃이자 봄을 깨우는 꽃이다.
전 세계적으로 280여종이 분포하는데, 그 중 250여 종이 중국 등 아시아에 자생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자생하던 것이 17세기 유럽으로 전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다양한 품종이 연구돼 그 수가 1만 5천여 종에 이른다.
과거부터 동백에 대한 다양한 이름이 전해지는데 피는 시기에 따라 춘백·추백·동백으로 나뉜다.
중국에서는 해홍화로 불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산다화라는 이름으로 많이 불렸다.
오늘날에는 겨울에 피는 꽃이라 해 동백이라 불린다.
완도수목원은 1991년부터 다양한 수종을 수집해 동백나무원을 조성했다.
수목원 곳곳에 170여 종의 동백이 각기 다른 매력을 뽐내고 있다.
동백특화림이 있는 삼두리 일원에도 동백꽃이 만발했다.
이곳은 전국에서 가장 큰 동백 자생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토피와 피부질환에 탁월한 베타피넨등 피톤치드 물질이 다른 숲에 비해 월등히 높다.
2016년부터는 42억원을 들여 약 200ha 규모의 자생동백숲 생육관리를 위한 숲가꾸기, 임도·숲길 개설 등을 추진했다.
동백열매·잎·꽃 등의 각종 부산물을 활용한 6차산업화 연구가 한창으로 단순히 보는 것을 뛰어넘는 융복합산업으로의 발전이 기대된다.
완도수목원은 지난 9일부터 자연휴양림을 제외한 전 구역을 개방했다.
다만 코로나19 감염위험이 있어 관람객 스스로 마스크 착용, 간격 유지 등 방역수칙을 지켜야 한다.
위안진 완도수목원장은 “이제껏 유례가 없었던 코로나19로 국민들의 상실감이 크다”며 “푸른 난대림과 함께 겨우내 강추위를 이겨낸 붉은 동백꽃을 감상하면서 고난 속에서 잠시나마 휴식을 취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