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온라인‘시민한옥학교’20일 개강… 수강생 모집
[국회의정저널] 서울시와 문화다움이 한옥 거주민과 한옥에 관심 있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20일부터 ’21년 시민한옥학교‘한옥건축교실’을 운영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전통한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대한옥의 최신 동향을 살펴보는 이론강의와 실거주자에게 듣는 한옥 사례소개로 진행된다.
특히 ’20년 대한민국 한옥 공모전 ‘올해의 한옥상’ 수상작과 사회관계망 서비스 등에서 많은 관심을 받은 한옥 사례를 통해 시민들에게 실질적인 한옥 건축 노하우를 전달할 예정이다.
1강‘한옥 : 집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한옥을 건축구조와 생활 측면에서 우리에게 ‘집’이란 무엇인지 생각해본다.
나아가 현대 주택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한 한옥의 전략과 역할을 가늠해본다.
2강‘한옥 재료로써 목재의 특성과 활용’: 한옥의 주 재료인 목재 짜맞춤 접합기술과 내진, 단열 성능 등 건축자재로서 목재의 특성과 활용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3강‘1인 가구가 직접 만든 현대 한옥’: 한옥에 대해 공부하며 1936년에 지어진 한옥을 직접 대수선해 자신과 어울리는 공간으로 연출한 건축주가 자신만의 시공, 인테리어 노하우를 나눈다.
4강‘융복합문화공간, 비자인 한옥’: 한옥에 담긴 예술가의 철학과 함께 구상부터 시공 전반에 이르는 과정을 공유한다.
주거 공간이자 작업 공간, 나아가 문화체험공간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복합용도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
5강‘크레인으로 지은 골목길 25평집’: 크레인만 17번 동원해 지은 도심 속 소규모 한옥. 한옥 건축 시 예상되는 문제점과 해결방법 등 한옥 건축에 필요한 실직적인 노하우와 지혜를 공유한다.
‘한옥건축교실’은 한옥에 관심 있는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수강신청은 10일 부터 15일까지 서울한옥포털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하면 된다.
수강생은 신청자 중 35명을 추첨해 운영하며 강의는 화상회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문의는 한옥지원센터로 하면 된다.
’21년 시민한옥학교는‘한옥건축교실’에 이어 6월엔‘한옥생활교실’, 7~8월‘한옥캠프’, 11월‘한옥소목교실’이 예정되어 있어, 해당 기간에 강의 소개 및 수강생 모집과 관련해 보도자료 등을 통해 별도로 안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류훈 서울시 도시재생실장은 “한옥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옥의 무한한 가능성과 가치에 공감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PEDI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